[뉴스 포커스] 기사로 쓰지 못한 제보들
신문사에서 일을 하다 보니 종종 제보를 받는다. 한 번도 뵌 적 없는 분의 전화나 이메일도 있고 지인들이 알려주기도 한다. 불이익을 당했다거나 억울한 피해를 호소하는 내용이 많고 아쉽게도 미담은 드물다. 제보의 내용에서도 팍팍한 세상살이의 단면이 보이는 듯해 씁쓸하다. 제보를 받으면 추가 취재 과정을 거쳐 기사로 쓰기도 하지만 그 중에는 듣는 것으로 끝나는 것도 있다. 특히 고발성 내용인 경우 기사로 쓰려면 정확한 사실 확인이 필요하고 상대방의 반론도 들어야 하는데 여의치 않을 때가 많다. 제보자가 마지막 순간에 마음을 바꾸기도 한다. 처음엔 화가 나고 분해 신문사에 알렸지만, 기사화 이후 발생할 상황에 대한 부담감 때문인 듯 하다. 최근에도 기사로 쓰지 못한 제보가 있었다. 제보자의 마음이 변한 탓이다. 하지만 누구나 당할 수 있는 일이라 어떤 사연인지는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냥 묻고 지나가면 또 다른 피해자가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내용은 한인 악덕 건축업자 때문에 발생한 일이었다. 그에게 주택 리모델링 일을 맡겼다가 큰 피해를 본 것이다. 처음 계약을 맺고 관행대로 공사 금액의 10%를 계약금으로 지급했다고 한다. 그런데 공사가 시작되자마자 업자의 태도가 달라졌다. 재료비 상승 등을 이유로 공사비 추가 지급을 요구하더라는 것. 미심쩍은 구석이 있었지만 ‘어차피 줄 돈이고, 한인인데’라는 생각에 믿고 요구대로 돈을 줬다고 한다.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됐다. 이런저런 이유로 공사는 지연됐고, 연락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급기야 업자의 잠적사태까지 벌어졌다. 답답한 마음에 관계 기관에 고발이라도 할 생각으로 부랴부랴 라이선스를 확인했더니 그마저도 정지 상태였다. 결국 공사 마무리를 위해 새로운 업자를 고용해야 했고 피해자는 추가 비용에 시간 허비, 마음고생까지 이중삼중의 고통을 겪었다. 사연을 듣고 계약서와 영수증, 업자의 이름과 연락처 등을 줄 수 있냐고 했더니 정리해서 보내주겠다고 했다. 그런데 소식이 없어 연락했더니 기사로 쓰지 말아 달란다. 혹시라도 악덕 업자의 해코지가 걱정된다는 게 이유였다. 시니어 분이라 이해는 가면서도 피해자가 오히려 몸을 사려야 한다는 게 안타까웠다. 이 밖에도 다양한 제보들이 있었다. 임대료를 2배 나 올린 한인 건물주의 임대료 횡포, 구매한 제품에서 하자가 발견돼 판매 업소에 환불을 요구했다 거부당했다는 이야기, 올드타이머 재력가 유족의 유산 싸움 등 다양하다. 그런데 사실 확인의 한계, 당사자들의 무응답 등으로 인해 기사로 쓰지 못했다. 그런가 하면 사실관계 분명하고 반론이 필요 없는 내용도 기사로 쓰지 못할 때가 있다. 오랫동안 알고 지낸 ‘김 회장님’은 신문을 참 꼼꼼하게 읽는 분이다. 지면을 통해 어려운 사람 사연이나 의미 있는 활동을 하는 단체가 소개되면 연락을 주신다. 연락처 좀 알려달라고…. 그리고는 그쪽으로 직접 성금을 보낸다. 나중에 도움을 받은 쪽의 얘기를 들어보면 예상보다 큰 금액일 때도 많다. ‘김 회장님’을 잘 아는 분으로부터 매년 기부금으로 사용하는 금액이 상당하다는 얘기도 들었다. “좋은 일 하셨네요” 하고 물으면 한결같은 대답이 “뭘, 별거 아닌데”다. 기자 입장에서 좋은 기삿거리라는 생각에 그동안 몇 차례 취재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본인의 완강한 거부 때문이다. ‘좋은 일은 알려야 한다’고 아무리 꼬셔도 요지부동이다. 한인사회에 김 회장님 같은 분이 더 많아졌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기자들이 고발성 제보보다 훈훈한 미담 제보 취재로 더 바빠졌으면 좋겠다. 김동필 / 논설실장뉴스 포커스 기사 제보 고발성 제보 미담 제보 기사화 이후